- 홍릉 센터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는 작년 하반기에 '사회혁신리빙랩' 수업을 함께 운영했다. 수업에 참여한 팀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의 2022년 2학기 정규과목인 '사회혁신리빙랩(이하 리빙랩)' 수업에는 총 6개 팀이 참여했다. 홍릉 센터와 칼리지는 매주 1회 이론 수업 및 현장 활동 진행 상황을 공유했으며, 수업 외의 조별 자율활동을 통한 프로젝트가 병행되었다.
이를 통해 홍릉 센터는 홍릉 일대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된 골목(상권)활성화, 로컬브랜드 개발, 온라인 홍보 및 마케팅, 환경개선 등의 지역활성화 관련 프로젝트를 발굴했고, 참여한 학생들은 연계 학점 취득을 비롯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문제설정, 과제수행, 발표 및 평가까지의 과정을 수행하며 사회혁신 이론과 실천의 융합과정 운영을 경험했다.
이번 리빙랩에 참여한 6개 팀 중 5조는 '회기와 홍릉을 담다'라는 테마로 2023년 달력을 제작했다. 달력을 통해 공간을 상기시키는 것, 공간에 깃든 상징성을 돌이켜보는 것, 이를 통한 지역 홍보와 더 나은 환경 조성의 기반 마련이 프로젝트의 목표였다.
제작된 달력은 온라인(에브리타임, 당근마켓 등)을 통해 홍보되었고, 오프라인(경희대학교 청운관 앞 부스)에서 판매를 진행했다.
By. 김홍구 코디네이터
- 홍릉 센터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는 작년 하반기에 '사회혁신리빙랩' 수업을 함께 운영했다. 수업에 참여한 팀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의 2022년 2학기 정규과목인 '사회혁신리빙랩(이하 리빙랩)' 수업에는 총 6개 팀이 참여했다. 홍릉 센터와 칼리지는 매주 1회 이론 수업 및 현장 활동 진행 상황을 공유했으며, 수업 외의 조별 자율활동을 통한 프로젝트가 병행되었다.
이를 통해 홍릉 센터는 홍릉 일대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된 골목(상권)활성화, 로컬브랜드 개발, 온라인 홍보 및 마케팅, 환경개선 등의 지역활성화 관련 프로젝트를 발굴했고, 참여한 학생들은 연계 학점 취득을 비롯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문제설정, 과제수행, 발표 및 평가까지의 과정을 수행하며 사회혁신 이론과 실천의 융합과정 운영을 경험했다.
이번 리빙랩에 참여한 6개 팀 중 5조는 '회기와 홍릉을 담다'라는 테마로 2023년 달력을 제작했다. 달력을 통해 공간을 상기시키는 것, 공간에 깃든 상징성을 돌이켜보는 것, 이를 통한 지역 홍보와 더 나은 환경 조성의 기반 마련이 프로젝트의 목표였다.
제작된 달력은 온라인(에브리타임, 당근마켓 등)을 통해 홍보되었고, 오프라인(경희대학교 청운관 앞 부스)에서 판매를 진행했다.
coordinator. 김홍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