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김홍구 코디네이터
- 홍릉 센터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는 작년 하반기에 '사회혁신리빙랩' 수업을 함께 운영했다. 수업에 참여한 팀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의 2022년 2학기 정규과목인 '사회혁신리빙랩(이하 리빙랩)' 수업에는 총 6개 팀이 참여했다. 홍릉 센터와 칼리지는 매주 1회 이론 수업 및 현장 활동 진행 상황을 공유했으며, 수업 외의 조별 자율활동을 통한 프로젝트가 병행되었다.
이를 통해 홍릉 센터는 홍릉 일대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된 골목(상권)활성화, 로컬브랜드 개발, 온라인 홍보 및 마케팅, 환경개선 등의 지역활성화 관련 프로젝트를 발굴했고, 참여한 학생들은 연계 학점 취득을 비롯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문제설정, 과제수행, 발표 및 평가까지의 과정을 수행하며 사회혁신 이론과 실천의 융합과정 운영을 경험했다.

이번 리빙랩에 참여한 6개 팀 중 4조는 '경희대로1가길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경희대로1가길은 경희대학교 정문 앞 상권을 구성하는 주요 지역으로 다양한 카페, 식당, 주점 등이 자리를 잡고 있다. 하지만 상권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경희대로1길, 회기로13길에 비해 유동 인구가 적고 인지도가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4조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골목상권 홍보를 통한 인지도 제고 프로젝트의 주 타겟층으로 20대 대학생들을 설정했고, 유입 인구들이 카페를 중심으로 주변의 음식점들도 살펴보게 되는 확산 효과를 도모했다.




4조의 홍보 마케팅은 온라인(랜딩 페이지 제작, 모바일/PC 반응형)과 오프라인(경희대학교 학과별 게시판 포스터 부착) 모두에서 이뤄졌으며, 11월 23일과 24일에 운영된 홍보 부스에서는 협업 계약을 체결한 카페들의 음료 판매 및 시음 활동을 통한 프로모션도 병행했다.


coordinator. 김홍구
By. 김홍구 코디네이터
- 홍릉 센터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는 작년 하반기에 '사회혁신리빙랩' 수업을 함께 운영했다. 수업에 참여한 팀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의 2022년 2학기 정규과목인 '사회혁신리빙랩(이하 리빙랩)' 수업에는 총 6개 팀이 참여했다. 홍릉 센터와 칼리지는 매주 1회 이론 수업 및 현장 활동 진행 상황을 공유했으며, 수업 외의 조별 자율활동을 통한 프로젝트가 병행되었다.
이를 통해 홍릉 센터는 홍릉 일대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된 골목(상권)활성화, 로컬브랜드 개발, 온라인 홍보 및 마케팅, 환경개선 등의 지역활성화 관련 프로젝트를 발굴했고, 참여한 학생들은 연계 학점 취득을 비롯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문제설정, 과제수행, 발표 및 평가까지의 과정을 수행하며 사회혁신 이론과 실천의 융합과정 운영을 경험했다.
이번 리빙랩에 참여한 6개 팀 중 4조는 '경희대로1가길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경희대로1가길은 경희대학교 정문 앞 상권을 구성하는 주요 지역으로 다양한 카페, 식당, 주점 등이 자리를 잡고 있다. 하지만 상권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경희대로1길, 회기로13길에 비해 유동 인구가 적고 인지도가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4조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골목상권 홍보를 통한 인지도 제고 프로젝트의 주 타겟층으로 20대 대학생들을 설정했고, 유입 인구들이 카페를 중심으로 주변의 음식점들도 살펴보게 되는 확산 효과를 도모했다.
4조의 홍보 마케팅은 온라인(랜딩 페이지 제작, 모바일/PC 반응형)과 오프라인(경희대학교 학과별 게시판 포스터 부착) 모두에서 이뤄졌으며, 11월 23일과 24일에 운영된 홍보 부스에서는 협업 계약을 체결한 카페들의 음료 판매 및 시음 활동을 통한 프로모션도 병행했다.
coordinator. 김홍구